크롬이나 Blisk로 모바일 환경에서 퍼블리싱 작업물이 어떻게 보여지는 확인 할 수 있으나 완벽하지는 않다.
때문에 서버에 파일을 올린 뒤 확인을 하는데 매번 작업 후 서버에 올리는 과정이 귀찮다.
로컬에서 작업된 파일을 모바일 기기로 바로 확인 후 서버에는 최종적으로 한번만 올리면 좋지 않을까?
해서 검색을 해봤더니 vs code의 live server로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었다.
live server를 꽤 오래 써왔는데 모바일 환경에서 확인할 수 있는걸 이제 알았다니🤣
VS Code 세팅 전 필독!
! 중요한 건 노트북이든 데스크탑이든 WIFI로 연결 후 모바일 기기와 같은 WIFI를 써야 한다는 것이다.
(나는 이 환경을 위해 다이소에서 USB 무선 랜카드(5,000)를 구입했다.)
1. 랜선(이더넷)은 사용 안 함으로 하고 WIFI를 연결 한 상태이다.
(처음부터 WIFI 환경이라면 이 부분은 신경 안써도 된다. 나는 랜선연결이었고 WIFI 연결을 위해 스위치한것이다.)
2. ctrl + shift + Esc 👉 작업 관리자 👉 성능 👉 WIFI 선택하면 IPv4 주소가 뜬다. 해당 주소를 복사한다.
3. vs code 에서 ctrl + B 👉 live server 검색 후 설치
4. vs code 에서 ctrl + , 👉 host 검색 후 위에서 복사한 IPv4 주소를 넣는다.
5. html 파일을 켜고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Open with Live Server 가 뜬다. 클릭하면 새창이 뜬다.
6. 주소를 모바일에서 확인한다.
WIFI 환경을 만드는게 조금(?) 귀찮지만 css 한줄을 위해 여러번 git에 push 하게 되면 history도 더러워지고 매번 올리는 과정에서 리소스 낭비가 심하다고 느껴졌는데, 로컬에서 작업 완료 후 모바일 확인을 위해 한번의 세팅은 좋은 것 같다.
(WIFI가 느리기 때문에 모바일 확인이 끝나면 WIFI연결을 해제한다)
'IT > mo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R과 SSR이란? 둘 의 장단점 비교 (0) | 2023.10.31 |
---|---|
프로그래머를 위한 ChatGPT 활용 (0) | 2023.06.05 |
[안드로이드] 네이티브, 하이브리드앱 구별하는 법 (0) | 2023.02.03 |
freebiesbug : 무료 웹페이지 psd, figma 사이트 (0) | 2022.04.18 |